병동 : 24시간 간호,간병제(연중무휴)
042-624-1190
Tel. 042-622-1068
Fax. 042-628-7556
20대 환자 가장 많은 '크론병'...배아프고 설사 자주하면 의심
크론병은 입부터 식도, 위, 소장, 대장, 항문에 이르기까지 소화관 전체에 걸쳐 어느 부위에서나 염증이 생기는 만성 질환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0년 크론병으로 진료받은 사람은 25,532명이다. 이중 남성이 17,269명, 여성이 8,263명이다. 2016년 환자 수 19,332명에서 6,200명 증가한 수치로, 연평균 증가율은 7.2%다. 2020년 인구 10만 명당 환자 수는 49.7명으로 2016년 대비 30.4% 증가했다.2020년 전체 진료 인원 중 가장 많은 연령대는 20대로 전체의 30.4%를 차지했다. 이어 30대가 22.6%, 40대가 14.6% 순이다. 20대 환자가 가장 많은 이유에 대해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조용석 교수는 "최근 10대, 20대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1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육류와 패스트푸드 섭취가 증가하는 것이 발병률을 높이는 원인일 수 있다"며 "또한 질병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검사 인프라가 좋아지면서 조기 검사로 조기 진단율이 올라간 것도 젊은 환자가 증가하는 이유 중 하나로 보인다"고 설명했다.호전과 악화 반복하는 크론병크론병의 가장 흔한 증상은 복통과 설사다. 복통은 오른쪽 아래 복부에서 가장 흔하며 식후에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아울러 식욕감소, 구역, 피로감, 체중감소 같은 전신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항문 주위 병변도 흔해서 항문 주위가 갈라지고 찢어지는 항문열상, 항문 주위에 염증이 생겨 농양이 차는 증상이 잘 발생한다. 이 때문에 단순 치질로 오해하는 경우도 많다.크론병이 진행되면 깊고 큰 궤양이 나타나 장 천공, 복강 내 농양, 누공, 장 폐색 같이 수술이 필요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크론병은 장내 증상이 주로 나타나지만, 장 이외의 부분에서 이상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 염증이 피부, 눈, 관절, 뼈 등으로 퍼져 피부 병변, 포도막염, 관절통, 간기능 이상 등이 나타날 수 있는 것. 이런 장외증상은 장내 염증이 호전되면 같이 좋아지는 경우가 많다.그러나 크론병 발병 초기에는 증상이 심하지 않고 간헐적으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서 처음 발병 후 진단까지 수년이 걸리기도 한다. 크론병을 진단하는 필수 검사는 대장내시경 검사와 복부 CT 검사다. 염증이 소장을 침범한 경우 소장 조영술이나 캡슐 내시경 등도 실시할 수 있다.